광림교회광림교회광림교회

닫기
 

뉴스레터

21년 1월 31일 제 828호
지난 뉴스레터 보기
  • 뉴스레터 제925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24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23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22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21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20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19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18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17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16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15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14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13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12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11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10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09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08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07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06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05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04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03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02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01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900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99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98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97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96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95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94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93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92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91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90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89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88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87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86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85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84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83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82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81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80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79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78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77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76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75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74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73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72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71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70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69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68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67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66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65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64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63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62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61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60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59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58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57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56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55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54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53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52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51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50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49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48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47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46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45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44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43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42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41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40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39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38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37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36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35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34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33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32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31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30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29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28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27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26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25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24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23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22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21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20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19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18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17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16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15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14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13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12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11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10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09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08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07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06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05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04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03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02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01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800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99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98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97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96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95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94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93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92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91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90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89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88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87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86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85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84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83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82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81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80호
    전체보기
  • 뉴스레터 제779호
    전체보기
닫기

광림의 강단

믿음 안에서 영적 강자로 살아가라

2025년 1월 12일

“믿음이 강한 우리는 마땅히 믿음이 약한 자의 약점을 담당하고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할 것이라”(롬 15:1)

2025년 한 해에도 하나님의 놀라우신 은혜와 평강이 광림의 권속들의 가정과 하시는 일 위에 넘쳐나기를 축원합니다.
한 해를 시작하면서 우리의 마음에는 희망과 더불어 기대감이 넘쳐야 하는데 우리들의 삶의 주변과 정황들을 보면 희망과 기대감보다는 깊은 한숨과 더불어 불안과 염려가 우리 가운데 있음을 보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들을 보면서 어떤 사람은 흘러가는 시간의 흐름에 맡기며 방임하는 인생을 살아가는 반면에 어떤 사람은 힘이 있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시대를 이길 수 있는 강력한 힘, 힘에는 경제적인 힘, 지식의 힘, 경험의 힘, 도덕적인 힘 등 여러 종류의 힘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힘보다 가장 강력한 힘은 영적인 힘입니다. 영적인 힘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가장 필요한 힘입니다. 이 힘은 믿음이 있게 될 때에 있게 되며 우리로 하여금 의로움과 진실함 그리고 겸손함을 갖게 합니다. 그렇기에 “무릇 하나님께로부터 난 자마다 세상을 이기느니라 세상을 이기는 승리는 이것이니 우리의 믿음이니라”(요일 5:4)의 말씀처럼 세상을 이기는 것은 다른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을 믿는 믿음입니다.

오늘 본문 로마서 15장 1절 말씀에 바울은 로마 교회의 성도들에게 편지를 보내면서 “믿음이 강한 우리는 …”이라고 시작하며 영적인 강자로 살아가는 인생이 어떠한 인생인지 본문을 통해 우리에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강력한 믿음 안에 사는 그리스도인, 이만큼 강한 인생이 어디에 있을까요? 환경과 여건에 휩쓸려 불안과 염려 가운데 사는 삶, 흘러가는 시간에 하나님께서 불러주시고 새롭게 한 삶은 내던지고 방임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넘어서 하나님의 사람으로 영적인 강한 인생을 살아가는 삶을 살아가야 할 줄 믿습니다. 본문 말씀을 통해 이러한 삶이 어떤 삶인지 함께 은혜를 나누고자 합니다.

시온 챌린지 아이들 만나길 바라는 예수님 마음 담아

로마서 15:1~6
1.믿음이 강한 우리는 마땅히 믿음이 약한 자의 약점을 담당하고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할 것이라 2.우리 각 사람이 이웃을 기쁘게 하되 선을 이루고 덕을 세우도록 할지니라 3.그리스도께서도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하셨나니 기록된 바 주를 비방하는 자들의 비방이 내게 미쳤나이다 함과 같으니라 4.무엇이든지 전에 기록된 바는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 우리로 하여금 인내로 또는 성경의 위로로 소망을 가지게 함이니라 5.이제 인내와 위로의 하나님이 너희로 그리스도 예수를 본받아 서로 뜻이 같게 하여 주사 6.한마음과 한 입으로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노라

  • 감독회장  김 정 석
    kwanglim-sp@hanmail.net
첫째, 연약한 자를 일으켜 세우라 하십니다

강력한 믿음으로 영적인 강자의 삶을 살아가는 자, 곧 연약한 자를 일으켜 세우는 자가 되어야 합니다. 본문 로마서 15장 1절에 “믿음이 강한 우리는 마땅히 믿음이 약한 자의 약점을 담당하고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할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담당하다’라는 말의 헬라어 원어는 ‘바스타조’(βαστάζω)이며, 이 단어의 뜻은 ‘들어 올린다’입니다.

이는 마치 군대에서 행군할 때에 뒤처지는 병사들이 있는데, 그때 연약한 병사의 짐을 대신 들어주는 것을 ‘담당하다’라고 합니다. 이처럼 믿음이 있다는 사람은 믿음이 연약한 사람의 부족한 점을 채우라는 것입니다. 상대의 허물이나 실수를 감추어주고 넘어지지 않도록 격려하며 용기를 주어야 합니다.

바울이 편지하는 로마 교회는 신앙의 연조가 깊은 교인과 신앙의 연조가 짧은 이방의 그리스도인들이 함께 예배하는 공동체였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오래 믿어 믿음이 있다는 사람들이 자기 교만에 빠져 믿음이 연약한 사람을 낮게 보지 말고, 연약한 자들의 부족하고 약한 점을 잘 돌보고 지도하며 도와줘야 한다고 말합니다.

‘연약한 자를 담당한다’, 곧 ‘믿음이 연약한 자를 일으켜 세운다’라는 것은 공감 능력과 더불어 포용능력을 가지고 연약한 자를 대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신학적 용어로 말하자면 ‘긍휼함’입니다. 그렇기에 다른 사람의 아픔을 함께 느낄 수 있는 공감능력과 다른 사람의 부족함과 연약함을 포용할 수 있는 포용 능력은 연약한 자에게 긍휼한 마음을 가지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님 나라의 거룩한 백성으로서 다른 사람의 부족하고 연약한 점을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긍휼한 마음으로 그들의 연약함을 세워주는 사람, 곧 믿음이 강한 영적 강자의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둘째,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는 인생입니다

본문 로마서 15장 2절의 말씀을 보면 “우리 각 사람이 이웃을 기쁘게 하되 선을 이루고 덕을 세우도록 할지니라”고 바울은 말합니다. 이는 이웃에게 선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웃을 기쁘게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자기의 기쁨이나 자아도취에 빠져 자기중심적인 인생을 사는 것이 아니라 이기적인 태도를 버리고 이웃에게 선이 되도록 이웃을 기쁘게 하는 삶으로 살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선은 무엇일까요? 선은 창세기 1장에서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하신 후에 말씀하신 것, “보시기에 좋았더라”입니다. 다시 말해,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좋은 것이 선인데, 이는 질서가 바르며 풍성하고 부하며 아릅답고 생명의 관계로 번성함을 말합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선하심이요, 이웃을 기쁘게 함으로 선을 이루는 것입니다.

무엇으로 이웃을 기쁘게 하여 선을 이룰 수 있을까요? 다름 아닌 복음입니다. 복음, 즉 하나님의 말씀이야말로 기쁜 소식입니다. 말씀이 우리를 위로하고, 격려하며, 새롭게 합니다. 그렇기에 복음의 기쁜 소식이 전하여질 때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질서가 바르며, 풍성하고, 부하며, 아름답고, 생명의 관계로 번성함은 다른 것이 아닌 오직 복음이 전하여질 때 가능해집니다. 이것을 다른 사람에게 전하게 될 때 영적인 강자의 삶을 살아가게 됩니다.

셋째, 하나 됨을 위하여 힘쓰는 인생입니다

본문 로마서 15장 5~6절의 말씀에 “이제 인내와 위로의 하나님이 너희로 그리스도 예수를 본받아 서로 뜻이 같게 하여 주사 한마음과 한 입으로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노라”고 말합니다. 여기서 “뜻을 같이 하여 주사”라는 말은 마음을 같게 해 달라는 것입니다. 바울이 로마 교회에 편지할 때에 로마 교회의 성도들은 성장 배경도 다르고, 교육 수준도 달랐습니다. 그렇기에 이질감을 가질 수밖에 없었고, 다름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하나 됨이란 본문의 말씀을 보면 “예수 그리스도를 본받아…”(5절)라고 말씀합니다. 그리스도를 본받을 때 예수님께서 그러했듯이 인내와 격려함으로 하나 됨을 누릴 수 있습니다. 다름을 인정하고, 그 다름 속에서 인내하며 격려할 때 비로소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구원받은 백성입니다. 하나님의 자녀라는 새로운 존재 양식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입니다. 이제 우리는 나만을 위한 예수님, 나만의 구원받은 백성의 기쁨을 만끽하는 이기적인 신앙의 자세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을 세우고 기쁘게 하며 하나 됨의 역사를 이루어야 합니다. 그럴 때 온전한 영적 강자의 삶을 누릴 수 있으며, 이 땅에 분리와 나눔의 어두움은 사라지고 하나님의 영광만이 드러나는 복된 인생의 삶을 살아가게 되는 줄 믿습니다.

  • -